소설(12)
-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서평, 감정이라는 이름의 절벽 앞에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 감정이라는 이름의 절벽 앞에서'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사랑이라는 감정이 인간의 삶을 얼마나 요동치게 만들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감정의 심연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하는 작품이었다. 괴테는 단순히 비극적인 연애 서사를 그리는 것이 아니라, 한 인간이 자신의 감정을 감당하지 못해 무너져 가는 과정을 낱낱이 기록한다. 베르테르는 우리가 누구나 한 번쯤은 경험해본 짝사랑의 고통, 그리고 감정에 모든 것을 내맡겨버렸을 때 벌어지는 파국의 얼굴이다. 읽는 내내 ‘사랑에 빠진다는 건 곧 자신을 잃는 과정이 아닐까’라는 질문이 머리를 떠나지 않았다. 베르테르는 롯테를 사랑함으로써 자신이 어떤 사람인지 점점 더 알게 되지만, 역설적으로 그 사랑이 자신을 파괴할 힘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 또한 ..
2025.03.22 -
'데미안' 서평, 어둠을 통과해 나를 만나는 법
'데미안' – 어둠을 통과해 나를 만나는 법헤르만 헤세의 '데미안'을 읽는다는 것은, 결국 나 자신과 마주하는 일과 다르지 않았다. 처음 책장을 넘길 때만 해도 단순한 성장 소설이라 여겼지만, 마지막 페이지를 덮고 나니 그것은 오히려 자아라는 낯선 숲을 홀로 걷는 여정에 가까웠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이 소설이 특별하게 느껴졌던 이유는, 싱클레어라는 인물이 겪는 모든 혼란과 충돌이 내 안에서도 끊임없이 반복되고 있다는 점 때문이었다. 빛과 어둠, 선과 악, 사회의 규범과 내면의 욕망 사이에서 방황하는 싱클레어의 고민은 시대를 초월한 인간의 고민처럼 느껴졌다. 그가 겪는 혼란은 단지 10대 소년의 철학적 사유가 아니라, 우리 모두가 한 번쯤은 마주하게 되는 내면의 균열이었다. 데미안이라는 인물은 현실에 존..
2025.03.22 -
'지구 끝의 온실‘ 서평, 기억을 지우는 사회에서 우리는 무엇을 잃고 사는가
'지구 끝의 온실' – 기억을 지우는 사회에서 우리는 무엇을 잃고 사는가김초엽의 '지구 끝의 온실'을 읽고 나서 나는 긴 침묵에 빠졌다. 책장을 덮은 후에도 이야기는 내 안에서 한참을 머물렀고, 무언가를 말해야 할 것 같은 강한 충동 속에서 쉽게 입을 떼지 못했다. 기후 재난, 기술문명, 기억 삭제라는 익숙한 SF적 배경을 입었지만, 이 소설이 가장 날카롭게 다가온 지점은 아이러니하게도 ‘감정’과 ‘기억’이라는 아주 인간적인 것들이었다. 기억을 없애주는 일이 직업인 주인공을 따라가며, 나는 끊임없이 되물었다. 기억을 지운다는 건 고통을 없애는 걸까, 아니면 나를 지우는 걸까. 고통을 피하려고 했던 내 지난 삶의 순간들이 머리를 스치면서, 이슬의 침묵과 회의, 그리고 결국 감정을 회복해 가는 흐름은 곧 내..
2025.03.21 -
'인간 실격' 서평, 존재의 끝에서 마주한 인간성
'인간 실격' - 존재의 끝에서 마주한 인간성 감상평살아가는 동안 한 번쯤은 ‘나는 도대체 누구인가’라는 물음을 스스로에게 던진 적이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 질문이 삶 전체를 집어삼킬 만큼 무거워질 때, 인간은 끝내 자신을 부정하고 마는 지점에 도달한다. 다자이 오사무의 '인간 실격' 은 바로 그 심연을 고스란히 보여주는 작품이었다.처음 이 책을 펼쳤을 때 느꼈던 감정은 당혹감에 가까웠다. 주인공 요조는 우리 대부분이 무의식적으로 감추는 내면의 나약함과 불안, 외로움을 정면으로 드러낸다. 그는 세상과 자신 사이에 놓인 단단한 유리벽을 손끝으로 두드리며 애써 웃는 법을 배우지만, 그 웃음은 결국 무너진 자아를 감추기 위한 얄팍한 가면에 불과했다. 나는 그 웃음을 따라가다가, 어느 순간 그가 얼마나 절실..
2025.03.20 -
'스토너' 서평, 조용히 무너지는 마음을 붙잡은 시간
📚 '스토너'를 읽고, 조용히 무너지는 마음을 붙잡은 시간'스토너'를 읽는 내내 어떤 화려한 반전도, 큰 사건도 없었지만 나는 이상하게도 자꾸만 페이지를 넘기게 되었다. 마치 고요한 강을 바라보는 것 같았다.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 것 같은데, 강 밑 어딘가에서는 삶이 계속 흐르고 있었다. 그리고 그 강물에 나도 천천히 잠겨들었다.스토너라는 이름의 인물은 어쩌면 우리 주변 어디에나 있을 법한 평범한 사람이다. 아니, 어쩌면 바로 나일지도 모른다. 특별한 성공도, 대단한 실패도 없이 하루하루를 살아가며, 때때로 외로움을 느끼고, 누군가를 사랑했지만 지키지 못하고, 애써 해낸 일들도 인정받지 못한 채 고요하게 삶을 마주하는 사람. 나는 이 책이 어떤 극적인 메시지를 주기보다는, 그저 ‘살아간다는 것’ 자..
2025.03.19 -
'소년이 온다' 서평 – 읽고 난 후 멈출 수 없던 생각들
📚 '소년이 온다'를 읽고, 내 안에서 울려 퍼진 질문 하나책을 덮은 후 나는 한동안 아무 말도 할 수 없었다. '소년이 온다'는 그냥 읽고 넘길 수 있는 소설이 아니었다. 그것은 내가 태어나기 전의 일이지만, 내 현재에 도달한 어떤 고통의 잔향이었다. 한강 작가의 문장을 따라가며, 나는 내가 감당할 수 있을지조차 모르는 인간의 고통과 기억 속으로 들어갔다.이 책을 읽기 전, 광주민주화운동은 교과서 속 한 페이지일 뿐이었다. 하지만 책 속 ‘소년’은 나를 그 시대 한복판으로 데려갔고, 나는 어느 순간 그 참혹한 광경을 내 눈앞에서 직접 마주하게 된 기분이었다. 문장은 조용했고, 감정은 절제되어 있었지만, 그 안에 스며든 고통은 나를 압도했다. 작품 속의 인물들은 모두 각자의 상처를 안고 살아간다. 그중..
2025.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