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유출 위험!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어플 5가지

2025. 7. 21. 00:20IT&보안&AI

반응형
반응형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실제 어플 5가지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실제 어플 5가지

정보유출 위험!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어플 5가지

개인 정보 보호에 대한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는 요즘, 스마트폰 사용자라면 반드시 주의해야 할 것이 바로 어플의 정보 수집 및 유출 가능성입니다. 대부분의 사용자는 앱을 설치할 때 별다른 의심 없이 권한을 허용하지만, 그 과정에서 나도 모르게 민감한 정보가 외부로 흘러나갈 수 있습니다. 오늘은 실제로 존재하며 주의가 필요한 어플들을 중심으로, 개인정보 유출의 위험성과 그 대처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정보유출 위험!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어플 5가지
정보유출 위험!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어플 5가지

📱 왜 앱 사용이 위험할 수 있을까?

앱이 정상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몇 가지 권한이 필요한 것은 당연합니다. 하지만 일부 앱은 본래 목적과 상관없는 민감한 정보까지 요구하며, 이 데이터를 마케팅, 제3자 공유, 심지어는 불법 경로로 유출하기도 합니다. 특히 아래와 같은 정보가 타깃이 됩니다:

  • 연락처 목록
  • 위치 정보 (GPS)
  • 통화 내역 및 문자
  • 사진 및 갤러리 접근
  • 마이크, 카메라 권한

이러한 정보가 유출될 경우, 단순한 광고 타겟팅을 넘어 금융 사기, 도용, 사생활 침해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정보유출 위험!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어플 5가지
정보유출 위험!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어플 5가지

🚨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실제 어플 TOP 5

1. Zepeto (제페토)

  • 이유: 얼굴 인식 데이터 및 위치 정보 수집
  • 주의 사항: 아바타 기반의 소셜 플랫폼으로 전 세계적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사용자의 얼굴 데이터를 서버에 저장하고 있다는 점에서 논란이 되었습니다. 또한 GPS를 통해 위치 추적 기능을 기본 탑재하고 있어 사생활 침해 우려가 있습니다.

2. TikTok (틱톡)

  • 이유: 과도한 권한 요청 및 중국 서버 데이터 전송
  • 주의 사항: 틱톡은 기본적으로 많은 데이터를 수집합니다. 특히 키보드 입력, 위치, 기기 정보 등 민감한 항목까지 수집하며, 중국 본사로 정보가 전송된다는 점에서 미국 및 유럽 일부 국가에서는 금지 조치가 내려진 바 있습니다.

3. CamScanner (캠스캐너)

  • 이유: 악성코드 삽입 이력
  • 주의 사항: 문서를 스캔하고 PDF로 변환하는 기능으로 인기를 끌었지만, 과거에 광고용 악성코드가 삽입된 버전이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퇴출당한 적이 있습니다. 이후 복귀했지만 여전히 불안한 감이 있으며, 대체 앱을 사용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4. FaceApp (페이스앱)

  • 이유: 얼굴 사진 저장 및 활용 가능성
  • 주의 사항: AI 기반 얼굴 노화 필터로 유명해졌지만, 해당 앱은 사진 업로드 시 자동으로 서버에 저장하며, 얼굴 인식 데이터를 상업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는 약관을 포함하고 있어 논란이 있습니다. 특히 이 앱도 러시아 개발사 소속으로, 국가 간 정보 보안 우려가 제기됩니다.

5. UC Browser (UC 브라우저)

  • 이유: 데이터 암호화 미흡 및 위치 정보 무단 전송
  • 주의 사항: 중국 개발 브라우저로, 데이터를 암호화하지 않은 채로 외부로 전송하는 방식이 여러 보안 전문가들에 의해 지적받았습니다. 또한 위치 정보가 사용자의 동의 없이 외부 서버로 넘어간 사례도 확인되었습니다.

정보유출 위험!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어플 5가지
정보유출 위험! 조심해서 사용해야 할 어플 5가지

🛡 정보 유출을 막기 위한 실천 팁

위와 같은 앱들을 무조건 사용하지 말라는 의미는 아닙니다. 하지만 보다 신중한 사용이 필요하다는 점은 분명합니다. 다음과 같은 수칙을 기억해 두면 개인정보를 지키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1. 앱 설치 전 리뷰와 개발사 확인
    • 평점이 높다고 해서 안심할 수 없습니다. 개발사 정보와 최근 업데이트 내역을 반드시 확인하세요.
  2. 권한 요청은 꼭 필요한 것만 허용
    • 앱이 사진 기능과 무관한데도 갤러리 접근을 요청한다면 거절해도 됩니다.
  3. 보안 설정 주기적 점검
    • 스마트폰 설정 > 앱 권한 메뉴에서 과도한 접근 권한을 수시로 점검하세요.
  4. 백신앱 설치 및 주기적 검사
    • V3 Mobile, 알약M 등 신뢰할 수 있는 백신 앱으로 수시로 검사하세요.
  5. 보안 관련 뉴스를 지속적으로 확인
    • 개인정보 이슈가 종종 뉴스에 등장하니, 꾸준히 체크하며 문제의 앱은 바로 조치하세요.

✅ 스마트폰, 제대로 쓰면 안전하다

스마트폰은 우리 삶에 없어선 안 될 필수품이 되었지만, 그만큼 개인 정보가 농축된 기기이기도 합니다. 위에서 소개한 어플들은 일상에서 자주 접하는 앱들인 만큼, ‘신뢰’만으로 무작정 사용하기보다는, 한 번 더 점검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습관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개인 정보 보호는 누군가 대신해줄 수 없습니다. 오늘 소개한 내용을 참고해, 스마트한 디지털 생활을 지켜나가시기 바랍니다.


🔎 함께 보면 좋은 글

반응형